블로그 혹은 웹사이트를 운영해서 수익을 낼 계획을 가지고 계신다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누구는 애드센스를 통해 월 얼마를 벌었다고 하고, 누군가는 파트너스를 통해 월 얼마를 벌었다는 식의 수익인증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쏟아지는 정보에서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가짜인지는 알 수 없으나 본인이 운영 및 서비스할 방향에 따라 때로는 쿠팡파트너스가 적합할 수도 있고 그 반대가 될 수도 있습니다.
1. 애드센스
구글 애드센스는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광고로 대부분 클릭당 비용을 제공해주는 cpc (cost per click ), 1000회 노출당 비용을 제공해주는 cpm (cost per miles)이 대부분이며, 일부에는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해서 들어와 설치, 회원가입 등 '어떤 행위'를 하면 제공해주는 cpa(cost per action)가 있습니다.
네이버 애드포스트, 카카오 애드 역시 cpc광고가 대부분이지만 단다가 애드센스에 비해 낮아 많은 사람들이 애드센스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또한 단가는 운영하는 서비스의 주제에 따라 천차만별이 되기도 합니다. 금융, 인테리어, 부동산, 건강, 미용 등 사용자가 광고를 게재하고 유입이 생겼을때 광고자에게 높은 이익이 될 수 있는 주제가 단가가 높은 광고가 달리는 주제에 해당합니다. 그만큼 키워드 경쟁이 치열하겠죠. 참고로 하위권 5개는 과학, 게임, 예술, 뉴스, 도서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고객센터에 방문하여, 본인의 주제에 따른 연 수익을 쉽게 계산해볼 수 있는 툴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단가가 가장높은 금융이란 주제로 월 50000명정도의 방문자가 발생했을때 개인마다 오차가 있을 수 있겠지만 약 2,000만원의 수익이 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게임의 경우. 금융 카테고리로 웹사이트 혹은 블로그를 운영했을 때 보다 수익이 약 4배정도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는 초기 아무런 돈을 지불할 필요없이 수익을 낼 수 있는 수익원이 되어주기도 합니다. 유의미한 방문자가 있을 때 단순 용돈에 그치지않는 돈을 정산받을 수도 있겠습니다.
애드센스와 쿠팡파트너스 사이에서 고민이 될 때 본인이 운영하는 서비스의 주제를 한번 생각해보고, 서비스에서 무언가를 판매할 상품이 없거나 한정적인 경우, 구매전환으로 이어지기 힘든 경우 애드센스 쿠팡 파트너스보다는 애드센스를 다는 것이 낫다고 생각됩니다.
2. 쿠팡 파트너스
쿠팡 파트너스는 쿠팡에서 제공해주는 제휴마케팅으로 파트너스 협력을 맺은 광고 게시자가 포스팅 혹은 피드에 걸어놓은 배너광고나 링크를 클릭해서 사용자가 유입된 후 그 물건을 구매하면 구매금액의 3%정도의 커미션을 광고게시자에게 지급해줍니다.
쉽게 예를들어, 제습기에 대한 리뷰를 진행한 후 글 하단에 쿠팡에 올라와 있는 20만원 정도하는 제습기를 링크에 추천해주었고, 그 글을 본 사용자가 해당링크로 들어가 물건을 구매한다면 광고를 게시한 사람에게 6천원의 수익이 할당되게 됩니다. 또한 사용자가 링크를 들어가서 24시간이 지나지 않고 또 다른 물건을 구매한다면 총 구매가격에서 3%의 커미션을 추가로 지급받게 됩니다.
사용자의 단한번의 액션에 많은 돈을 지급해주니 쿠팡파트너스가 이득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구글 애드센스는 '유효한 클릭 한번'이면 수익을 곧바로 정산해줍니다. 평균 0.1 ~ 0.2$로 약 130원에서 260원 사이의 금액을 지급해줍니다.
애드센스의 평균 광고 클릭율은 1%라고 하니, 약 100번의 페이지 방문이 있으면 100원 조금 넘는 금액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쿠팡파트너스는 광고를 '클릭'해서 들어와야하고 거기에서 한번 더 '구매'라는 행동을 해야합니다. 즉 전환을 위한 단계가 한단계 더 있는 셈이지요.
광고 클릭하는 클릭율이 10%, 광고를 클릭해서 들어와 물건을 구매하는 전환율이 10%라고 할때 100명중 10명이 광고를 클릭해서 들어왔고 그 중 10%만이 물건을 샀으니 1명이 구매한만큼의 금액을 정산 받을 수 있게됩니다.
100명중 한명에 해당하는 금액을 정산받을 수 있으니, 애드센스와 동일한 것이 아닐까요? 하지만 무엇가의 전환을 10% 이끌어 내는 것은 누군가에게는 쉬울 수 있으나, 주제와 맞지않는다면 상당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즉 요약하자면, 지속성과 연관성이 필요합니다. 내가 서비스하는 주제에서 관련된 주제로 물건을 홍보할 수 있거나, 사용자의 구매를 일으킬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면 쿠팡파트너스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넷플릭스에서 '최애의 아이'를 감명깊게 보았다고 해봅시다. 많은 사람들이 봐주었으면 하는 마음에 리뷰를 작성하고 포스팅의 아래에는 '최애의 아이 굿즈'를 파트너스로 달아 놓았을때 얼마만큼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으며, 다음 영화나 드라마 리뷰에는 내가 관련된 파트너스 아이템을 링크로 달아놓을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난에서 탈출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익형 웹사이트를 운영해보고 느낀점 (1) | 2023.08.14 |
---|---|
웹사이트는 돈을 어떻게 벌까 (웹사이트 수익구조) (1) | 2023.06.27 |
대학생 개발 부업 어떻게 시작할까? (0) | 2023.06.13 |